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병원신분증 의무화 미성년자는? 모바일 건강보험증

반응형

병. 의원 갈 땐 신분증 꼭 챙기세요!! 2024년 5월 20일부터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병원에 가보니 깜빡하고 안 챙겨 오신 분들이 참 많았는데요. 신분증이 왜 필요한지 아직 신분증이 없는 미성년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목차

    병원 신분증

    병원신분증 의무화를 하는 이유

    본인 확인을 통해 좀 더 안전하게 병. 의원을 이용할 수 있고,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의 부정수급을 사전에 예방하여 세고 있는 의료보험비를 막을 수 있어요. 또한 건강보험증 대여로 인한 약물 오남용도 막을 수 있습니다.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증명서로 사진이 붙어있고 주민등록번호나 외국인등록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신분증 및 서류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외국인등록증
    • 모바일 신분증

    본인 확인 방법

    - 내원: 병.의원에 방문하여 진료 접수 시, 신분증을 제시
    - 요양기관: 접수 시 제시한 신분증명서로 본인여부와 건강보험 자격 확인

    미성년자 및 본인확인 예외대상

    19세 미만 미성년자들은 보험증이나 신분증 없이 평소처럼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미성년자 외 에도 국민건강보험 시행규칙에 따라 아래 해당사항이 있다면 본인확인 예외 대상이 됩니다.

    - 19세 미만인 자
    - 해당 요양기관에 6개월 이내 재원한 자
    - 처방전에 따라 양국 또는 한국의 희귀, 필수 약품센터에서 약제를 지급하는 경우
    - 진료의뢰, 회송 받는 경우
    - 응급이송자
    - 거동이 불편한 자 등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경우

    모바일 건강 보험증

    깜빡하여 신분증을 챙기지 못하신 분들이 있을 텐데요. 그런 상황을 대비해 건강보험공단에서 개발한 모바일 건강보험증으로도 본인확인이 가능하니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스마트폰으로 아래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설치하여 편하게 본인인증 하세요. 한번 설치로 신분증을 들고 다니는 수고로움을 없앨 수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바로가기

    설치 및 사용방법

    1. google play 또는 app store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 검색 후 설치
    2. 설치 후 본인 인증 수단을 선택하여 인증
    3. 비밀번호 설정 or 생체인증 정보등록
    4. 모바일 건강보험증 조회 or QR코드 제출

    갑작스레 바뀐 제도로 인해 불편함을 겪으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병원에 방문하셨다가 신분증이 없다고 발길을 돌리는 일이 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loading